사정당국 관계자 "감사원도 파악" 주장
北신포 원전, 남측 신한울서 전력공급도 검토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이 2019년 12월 감사원 감사 직전 삭제한 530개 파일 목록 중 '北 원전건설추진 문건' 관련 파일. 보고서 캡쳐
이 관계자는 “감사원도 2020년 월성 원전 감사를 벌이면서 해당 문서의 내용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신희동 산업통상자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해당 문서의 내용에 대해 “북한 지역 뿐 아니라 남한 내 여타 지역을 입지로 검토하거나, 남한 내 지역에서 원전 건설 후 북으로 송전하는 방안을 언급하는 등 그야말로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아이디어 차원의 다양한 가능성을 기술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신희동 대변인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 관련 주장에 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2/01/9e2af8eb-ec83-49de-bc68-ff92c499d26a.jpg)
산업통상자원부 신희동 대변인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 관련 주장에 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야당에선 “정부가 탈원전을 하겠다며 온갖 무리수를 동원해 신한울 3ㆍ4호기 공사를 세워놨는데 북한 전력지원을 위해 이를 다시 완공하겠다는 발상은 단순히 실무진의 아이디어 수준으로 보기 어렵다. 청와대 차원의 강력한 정책 의지가 반영되지 않고선 나올 수 없는 내용”이란 지적이 나왔다. 또 DMZ에 원전을 짓겠다는 구상도 DMZ 생태계 보존을 강조하는 현 정부의 방침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파격적 내용이다.
국민의힘은 북한 원전 문서의 진상규명을 위해 특검와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https://ift.tt/3oye9Uf
대한민국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DMZ원전 건설...산업부 문서, 北지원 3가지 시나리오 있었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