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과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전 청와대 산업비서관). 연합뉴스
한수원 이사회 3주 전 산업부 "월성 1호기 영구중단 요청해야"
검찰이 복구한 파일 중에 2018년 6월 15일 한수원 이사회가 월성 1호기 폐쇄를 의결하기 3주 전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180524_한수원 사장에게 요청할 사항'이라는 제목의 문건도 있었다. 이 문건에는 월성 1호기와 관련해 영구 중단 의사결정, 지역 주민에 대한 설명회 등을 한수원에 요청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검찰은 이와 함께 '180530_한수원 사장 면담 참고자료' '4234' 문건 등도 산업부와 한수원간 협의 자료로 판단했다. 한수원 사장 면담 참고자료에는 한수원 태스크포스(TF)·회계법인의 평가 결과 기준 월성 1호기 이용률인 56.7%(최초 경제성 평가선 이용률 85%), 한수원 이사회가 조기 폐쇄와 즉시 가동 중단을 결정할 필요성, 이사회 사전 설명 필요성 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산업부 공무원들이 2019년 12월 감사원 감사 직전 삭제한 530개의 파일 가운데 2018년 5월 24일 자 '한수원 사장에게 요청할 사항' 문건도 포함됐다. 월성 1호기 조기폐쇄를 결정한 2019년 6월 15일 한수원 이사회 3주 전에 작성된 문건이다.
문건 삭제를 실행해 구속기소 된 A서기관은 감사원 조사에서 "2019년 12월 1일 오후 10시가 넘어서 산업부 사무실에 들어가 월성 1호기 감사 관련 폴더를 비롯한 각종 업무용 폴더를 삭제한 사유는 다음 날 오전 감사원 감사관과 면담이 약속돼 있었기 때문"이라며 "감사관에게 감사 자료를 제출하지 않기 위해, 그리고 관련 자료가 없다고 이야기하기 위해 삭제한 것"이라고 진술했다.
그는 "'파일 작성일자_한수원 사장에게 요청할 사항'으로 돼 있었던 파일명을 '4234'으로 수정해 삭제했다"며 "파일이 복구됐을 때 파일명으로는 어떤 문서인지를 확인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라고도 했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지난해 10월 23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부, 한수원 이사회 날짜·결과 靑에 미리 보고"
한수원 이사회가 임박한 2018년 6월에는 대통령 보고용 문서가 청와대의 수정 요청으로 다시 작성한 흔적도 나타났다. '180610_대통령 에너지전환(원전) 보고_원전국_v(BH 수정요청 반영 재제출)' 문건에서다. 또 한수원 이사회의 조기 폐쇄 의결 관련 보도자료에 월성 1호기 근로자 고용보장 사항 등을 포함하는 계획 등을 채희봉 당시 청와대 산업비서관과 협의하는 '180611_산업비서관 요청사항' 문건도 나왔다.
검찰은 삭제 파일 중에 북한 원전 건설 추진 방안과 원전 찬·반 시민단체, 한수원 노조 동향을 담은 문건도 있었다고 적시했다.

검찰이 지난해 12월 2일 월성 1호기 관련 내부 자료를 삭제하는 데 관여한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 3명을 대상으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같은 달 3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 당시 공무원이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진 사무실에 관계자가 업무 중에 있다.뉴스1
성윤모·백운규 "한수원 자율적 결정이었다"
강광우·정유진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
소스 뉴스 및 더 읽기 ( "한수원 자율 결정"이라더니…산업부 문건 "조기폐쇄 요청" - 중앙일보 - 중앙일보 )
https://ift.tt/3pvZJVY
대한민국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한수원 자율 결정"이라더니…산업부 문건 "조기폐쇄 요청"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