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노자 교수. 중앙일보DB
우원식 “고려인 삶 더욱 조명하겠다” 화답
박 교수는 “홍범도 장군은 한국 정권의 예우를 받지만, 그 부대원의 후손들을 포함한 고려인들은 이 땅으로 오면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느냐”라며 “대부분 영세 제조업 공장 등에서 고생을 하고 3분의 1은 고질적 임금 체불 문제에 시달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려인들이 한국어에 어눌한 측면을 온갖 악질 업자들이 다 이용한다.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도 살인적인 노동 부담 때문에 70% 정도가 그럴 시간도 없다고 한다”고 했다.
그는 ‘한국 국가기관들의 반노동자적 성격’, ‘노동에 대한 초과 착취의 문제’, ‘차별방지법 부재로 인한 차별의 만연’을 문제로 지적하고 “이게 다 쉽게 해결되는 문제들은 아니다”라며 “적어도 귀화와 대한민국에서 정주를 희망하는 고려인 동포들에 한해 간이·속성 귀화라도 허용하면 안 되느냐”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하관을 지켜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8/18/affa11f2-59e5-4fb8-8fc1-626d34c7f244.jpg)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하관을 지켜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 교수는 “대한민국이 정말 노령에서의 독립운동 역사를 존중한다면, 스펙타클에만 만족하지 말고 적어도 이 정도의 정책적 해결을 시도해 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박 교수의 지적에 정치권도 화답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박 교수를 언급하며 “홍범도 장군 봉환을 계기로 고려인의 삶을 더욱 조명하도록 하겠다”라고 답변을 남겼다.
이어 “식민지배에 당당히 맞섰고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강제로 조국을 등져야 했던 수많은 타국의 조선인과 그 후손에 대한 동질감을 회복하고 대한민국이 조국으로서 해야 할 일을 찾겠다”고 했다.

https://ift.tt/3mfYiMS
대한민국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박노자, ‘홍범도 봉환’에 쓴소리 “국내 고려인 아픔도 살펴야”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